J. P. 모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피어폰트 모건은 1837년에 태어나 1913년에 사망한 미국의 금융가이자 은행가이다. 그는 금융, 철도, 철강, 해운, 전기, 통신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기업의 재편과 합병을 주도하며 미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1907년 공황 당시 금융 위기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미국강철(US Steel)을 설립하는 등 산업 통합을 이끌었다. 모건은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그의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금융 및 산업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책 수집가 - 움베르토 에코
움베르토 에코는 이탈리아의 소설가이자 철학자, 기호학자, 중세학자로, 기호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장미의 이름》 등의 소설과 저서를 통해 문학 이론과 대중문화에 대한 독창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동서양 지식 교류에 기여했다. - 책 수집가 - 크리스토퍼 로빈 밀른
작가 A. A. 밀른의 아들이자 동화 《곰돌이 푸》의 등장인물 크리스토퍼 로빈의 모티브가 된 크리스토퍼 로빈 밀른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작품으로 유명해졌으나, 사생활 침해와 정체성 문제로 복잡한 감정을 느꼈고, 성인이 되어 서점을 운영하며 회고록을 집필했다. - 하트퍼드 (코네티컷주) 출신 - 바버라 매클린톡
바버라 매클린톡은 옥수수 연구를 통해 트랜스포존의 존재를 최초로 밝혀내 198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세포유전학자로, 염색체 구조 및 기능 연구,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 연구 등을 통해 유전학 분야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하트퍼드 (코네티컷주) 출신 - 새뮤얼 콜트
새뮤얼 콜트는 1836년 회전식 권총 특허를 획득하고 콜트 패터슨 리볼버를 개발하여 실용적인 리볼버 시대를 열었으며, 호환 부품을 사용한 대량 생산 방식과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총기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발명가이자 기업가이다. - 미국의 은행가 - 스티븐 므누신
스티븐 므누신은 골드만삭스 파트너, 헤지펀드 운영, 영화 제작 등 다양한 경력을 쌓은 미국 금융인이자, 트럼프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역임하며 감세 정책을 추진했지만, 원웨스트 은행 인수 과정에서의 논란과 정부 항공기 부적절 사용 논란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미국의 은행가 - 제임스 새비지 (은행가)
제임스 새비지는 미국의 은행가, 변호사, 작가, 역사가로,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로비던트 저축 은행 설립에 기여했으며, 매사추세츠 역사 협회에서 활동하며 뉴잉글랜드 초기 정착민의 계보 사전을 출판하고 1873년 보스턴에서 사망했다.
J. P. 모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존 피어폰트 모건 |
출생 | 1837년 4월 17일 |
출생지 | 미국 코네티컷주 하트퍼드 |
사망 | 1913년 3월 31일 (75세) |
사망지 | 이탈리아 라치오주 로마 |
안장지 | 미국 코네티컷주 하트퍼드 시더 힐 묘지 |
직업 | 금융인 투자 은행가 회계사 미술품 수집가 |
배우자 | 아멜리아 스터지스 (1861년 결혼, 1862년 사별) 프랜시스 루이즈 트레이시 (1865년 결혼) |
자녀 | 4명 (잭, 앤 포함) |
가족 | 모건 |
![]() | |
경력 | |
주요 업적 | J.P. 모건 & Co. 설립 및 리드 아메리칸 브리지 컴퍼니, 제너럴 일렉트릭,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인터내셔널 머칸타일 마린, 서던 철도, US 스틸의 설립 자금 지원 모건 "자금 신탁" 조직 (애트나, 제너럴 일렉트릭, 인터내셔널 머칸타일 마린 컴퍼니, 풀먼 팰리스 카 컴퍼니, US 스틸, 웨스턴 유니언, 21개 철도 회사 소유) |
이사회 | 노던 퍼시픽 철도 뉴헤이븐 철도 펜실베이니아 철도 풀먼 팰리스 카 컴퍼니 웨스턴 유니언 뉴욕 센트럴 철도 올버니 & 서스쿼해나 철도 애트나 제너럴 일렉트릭 US 스틸 |
학력 | |
모교 | 괴팅겐 대학교 |
개인 정보 | |
아버지 | 주니어스 스펜서 모건 |
어록 | |
어록 | 글쎄, 변호사가 필요한지는 모르겠는데. |
2. 초기 생애와 교육
모건은 교육을 마친 후, 1857년 8월 런던의 상업은행 회사인 조지 피보디 & 컴퍼니(George Peabody & Co.)에 합류하며 금융 경력을 시작했다.[12] 이후 뉴욕으로 건너가 아버지의 미국 대표로서 던컨, 셔먼 & 컴퍼니(Duncan, Sherman & Company, 1858–1861), 자신의 회사인 J. 피어폰트 모건 & 컴퍼니(J. Pierpont Morgan & Co., 1861–1864), 그리고 댑니 모건(Dabney Morgan, 1864–1872) 등에서 근무하며 은행 업무와 경영 방식을 익혔다. 미국 남북 전쟁 중에는 앤티텀 전투 이후 연방 채권 거래 등으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으며, 금 거래를 통해서도 수익을 올렸다.
존 피어폰트 모건(John Pierpont Morgan)은 1837년 4월 17일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에서 태어났다.[5][6] 아버지는 성공한 은행가인 주니어스 스펜서 모건(Junius Spencer Morgan, 1813~1890)이었고, 어머니는 시인 존 피어폰트(John Pierpont)의 딸인 줄리엣 피어폰트(Juliet Pierpont, 1816~1884)였다.[7] 그는 유력한 모건 가문 출신이었다.[5][6] 그의 삼촌 제임스 로드 피어폰트(James Lord Pierpont)는 유명한 크리스마스 캐롤인 "징글벨"(Jingle Bells)을 작곡했다. 모건은 "존"이라는 이름 대신 "피어폰트"라고 불리는 것을 선호했다.[8]
모건은 뉴잉글랜드의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웨스트 미들 스쿨(West Middle School)과 체셔 아카데미(Cheshire Academy)에 다녔다.[9][7] 1851년 9월, 그는 상업 분야 경력을 위한 수학을 전문으로 하는 보스턴의 잉글리시 하이 스쿨(The English High School) 입학 시험을 통과했다.[7]
1852년 4월, 그는 류머티즘 열에 걸려 걸을 수 없을 정도의 고통을 겪었으며, 이 병의 증상은 그의 일생 동안 영향을 미쳤다.[7] 아버지 주니어스는 그를 회복을 위해 아소르스 제도로 보냈다. 그는 거기서 거의 1년 동안 요양한 후 보스턴으로 돌아와 학업을 재개했다.
1856년, 그의 아버지는 그를 스위스 라 투르드 펠(La Tour-de-Peilz) 마을의 벨레리브(Bellerive) 학교로 보냈는데, 그는 거기서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7] 그의 아버지는 그를 독일어 실력 향상을 위해 독일 괴팅겐 대학교로 보냈다.[10] 그는 6개월 만에 독일어를 어느 정도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게 되었고, 미술사 학위를 받고 1857년 학업을 마쳤다.[11]
3. 금융 경력
모건의 영향력은 특히 철도 산업에서 두드러졌다. 1869년 제이 굴드와 짐 피스크로부터 올버니 앤드 서스쿼해나 철도(Albany and Susquehanna Railroad)의 경영권을 성공적으로 확보한 것을 시작으로, 그는 철도 회사의 재건과 자금 조달에 깊숙이 관여했다. 1885년에는 뉴욕 웨스트 쇼어 앤드 버팔로 철도(New York West Shore and Buffalo Railway)를, 1886년에는 필라델피아 앤드 레딩 철도(Philadelphia and Reading Railroad)를, 1888년에는 체서피크 앤드 오하이오 철도(Chesapeake and Ohio Railway)를 재건했으며, 제임스 제롬 힐과 함께 그레이트 노던 철도(Great Northern Railway) 경영에도 참여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경영난에 빠진 기업의 사업 기반과 경영 구조를 재편하여 수익성을 회복시키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모르가니제이션(Morganization)이라고 불리게 되었다.[79] 그의 명성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80] 동시에 강력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산업 재편을 주도하는 방식은 독과점에 대한 우려를 낳기도 했다.
1887년 주간상거래법이 제정되자, 모건은 1889년과 1890년에 철도 회사 대표들을 모아 회의를 열고, 경쟁을 지양하며 안정적인 운임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협정을 맺도록 유도했다. 이는 20세기 초 철도 산업의 대규모 통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과정에서 경쟁자와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1901년 E. H. 해리먼과의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Chicago, Burlington and Quincy Railroad) 인수 경쟁은 주식 시장의 이상 급등 현상인 노던 퍼시픽 코너(Northern Pacific Corner)를 유발하며 1901년 공황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철도 산업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모건은 해운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1902년, 그는 대서양 항로의 통합을 목표로 여러 미국 및 영국 해운사를 인수하여 국제해운상사(International Mercantile Marine Co., IMM)를 설립했다. 이는 육상 운송(철도)과 해상 운송을 연계하여 물류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IMM은 화이트 스타 라인 등을 자회사로 두었으며, 이 회사는 후에 비극적인 침몰 사고를 겪게 되는 타이타닉호를 건조하고 취항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초기 경력 (1857-1871)
괴팅겐 대학교에서 교육을 마친 후, 모건은 1857년 8월 런던으로 건너가 아버지가 파트너로 있던 상업은행 회사인 조지 피보디 & 컴퍼니(George Peabody & Co.)에 합류했다.[12] 이듬해인 1858년, 그는 뉴욕으로 이주하여 던컨, 셔먼 & 컴퍼니(Duncan, Sherman & Company)에서 사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아버지의 명성과 피보디 가문의 후계자라는 지위 덕분에 그는 빠르게 월가의 유망주로 떠올랐고, 뉴욕의 주요 인사들과 교류했다. 그는 아버지의 엄격한 종교적 신념 아래에서도 투자 결정과 생활 방식에서 상당한 자율성을 누렸으며, 진지하고 활기찬 업무 태도로 아버지의 친구들로부터 직업 윤리와 사업 능력을 인정받았다.
모건이 합류할 당시 피보디 & 컴퍼니는 1857년 공황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미국 증권에 대한 투자자 신뢰가 하락하고 미국 내 거래 은행들이 문을 닫는 등 위기에 처했지만, 잉글랜드 은행의 대출 등으로 회사는 살아남았다. 던컨, 셔먼 & 컴퍼니에서 근무하며 모건은 오하이오 앤 미시시피 철도, 일리노이 센트럴 철도 등의 자금 조달 및 재편성에 참여하며 초기 경험을 쌓았다. 그의 주된 업무는 이자 및 배당금 수금 및 송금, 뉴욕 증권거래소 주문 실행, 거래 회사 신용 조사 등이었다.
1859년 초, 모건은 면화 무역 지식을 넓히기 위해 조지아, 앨라배마, 루이지애나 등 남부 지역을 수개월간 방문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주요 면화 수출항인 뉴올리언스에서 보냈다. 잠시 쿠바를 방문하여 평생의 기호품이 된 쿠바 시가를 접하기도 했다. 이 시기 그는 회사 허가 없이 독자적으로 커피 거래를 시도하여 이익을 보았으나, 이 일로 엄중한 경고를 받았다.
미국 남북 전쟁 발발로 사업이 침체되면서 잠시 지연되었으나, 모건은 1861년 4월에서 7월 사이에 자신의 회사인 J. 피어폰트 모건 & 컴퍼니(J. Pierpont Morgan & Company)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아버지 회사의 뉴욕 대리점 역할을 수행했으며, 익스체인지 플레이스 53번지의 작은 사무실에서 시작했다. 전쟁 중 모건은 당시 다른 부유층 인사들처럼 300USD를 지불하고 대리인을 고용하여 징병을 면제받았다.
남북 전쟁은 모건의 사업 방향을 크게 바꾸었다. 목화 사업과 철 수입이 급감하면서 유가 증권 및 외환 거래가 주력 사업이 되었다. 모건 부자(父子)는 앤티텀 전투 이후 북군이 우세해지자 연방 채권 거래를 통해 큰 이익을 얻었다. 또한, 1862년 금본위제가 중단된 후 금 시세 변동을 이용하여 막대한 이익을 거두었다. 북군이 우세하면 금값이 떨어지고 남군이 우세하면 치솟는 상황을 이용하여 약 16만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알려졌다.[106] 1863년 10월에는 에드워드 B. 케첨(Edward B. Ketchum)과 공모하여 115만달러 상당의 금을 영국으로 이전시켜 가격 급등을 유도한 뒤 보유 금을 매각해 큰 차익을 남겼다. 이 거래는 당시 미국 금 시장을 장악하려는 투기적 시도이자 국가 재정 상황에 대한 무감각함을 보여준다는 비판을 받았다.
1862년, 모건은 사촌 제임스 구드윈(James Goodwin)을 파트너로 영입했다. 같은 해 아버지가 런던 사무소 책임자가 되면서 회사는 더욱 성장하여 월가의 유력한 사설 은행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 홀 카빈 사건 ===
남북 전쟁 중 모건은 소위 홀 카빈 사건(Hall Carbine Affair)으로 큰 논란에 휩싸였다. 1861년 8월, 그는 사이먼 스티븐스(Simon Stevens)라는 인물에게 2만달러를 빌려주었다. 스티븐스는 이 돈으로 정부로부터 불하받은 구식 홀 카빈 소총 5,000정을 민간 상인 아서 이스트먼(Arthur M. Eastman)에게서 정당 11.5USD에 사들였다. 이 소총은 원래 정부가 구입했다가 결함 등을 이유로 정당 3.5USD에 이스트먼에게 매각한 것이었다.[105] 스티븐스는 불런 전투 패배 후 무기 부족에 시달리던 북군 서부 지구 사령관 존 C. 프리몬트 장군에게 이 소총을 정당 22USD라는 높은 가격에 되팔았다.
대출 기간 동안 소총의 소유권은 모건에게 있었으며, 그는 소총을 프리몬트에게 인도하기 전 개조 작업을 책임졌다. 이후 모건은 육군으로부터 소총 대금 5.5만달러를 받아 대출 원리금과 비용을 공제한 나머지를 스티븐스에게 전달했다. 이 거래는 곧바로 문제가 되었고, 1863년 미 하원 보고서는 이러한 폭리 행위를 강하게 비판했다. 당시 조사에서 모건이 직접적인 처벌을 받지는 않았지만, 그의 이름은 이 불미스러운 사건과 오랫동안 연관되었다.
모건이 이 계획을 얼마나 알고 있었고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는 그의 생전부터 사후까지 계속 논란이 되었다.[13][14] 구스타부스 마이어스(Gustavus Myers)는 1910년 저서에서 모건이 결함 있는 소총으로 부당 이익을 취했다고 비판했으며,[15][14] 매슈 조셉슨(Matthew Josephson) 등 다른 비평가들도 모건이 계획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16] 반면, 모건 측근이나 일부 전기 작가들은 스티븐스가 모건의 이름을 이용했을 뿐, 모건이 직접 부당 계약에 가담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반박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은 모건의 초기 경력에 '부도덕한 전쟁 특수 추구'라는 오점을 남겼다.
1864년, 모건은 찰스 H. 댑니(Charles H. Dabney), 짐 굿윈(Jim Goodwin)과 함께 댑니, 모건 & 컴퍼니(Dabney, Morgan & Company)를 설립하며 사업을 확장했다.[12]
3. 2. 드렉셀 모건 & 컴퍼니 (1871-1895)
1871년, 아버지 J.S. 모건의 권유로 필라델피아의 저명한 금융가 앤서니 조셉 드렉셀과 손잡고 뉴욕에 드렉셀 모건 & 컴퍼니(Drexel, Morgan & Co.)를 설립했다. 이 새로운 상업은행 파트너십은 유럽 자본의 미국 투자를 중개하는 주요 대리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급성장하던 미국 철도 산업의 자금 조달과 미국 증권시장의 안정 및 활성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드렉셀 모건은 이전까지 철도와 운하에 국한되었던 자본 시장을 넘어 산업 기업 전반을 위한 전국적인 자본 시장을 창출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정부 재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는데,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1877년에는 미국 육군 전체의 급여 지급을 인수했으며, 1895년 공황 당시에는 미국 정부의 구제금융을 지원하기도 했다.
모건은 자신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당시 미국 최대 산업이었던 철도에 주목했다. 그는 제이 쿡이 장악하고 있던 정부 자금 조달 특권을 깨뜨리기 위해 신디케이트를 이끌었으며, 재편과 통합을 통해 국가적인 철도 제국을 개발하고 자금을 조달했다. 그는 유럽에서 막대한 자금을 조달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재정가로서의 역할을 넘어 철도 회사들을 적극적으로 경영하고 재편하여 효율성을 높였다.[17] 이러한 과정은 "모건화(Morganization)"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민간 사모펀드 투자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18]
모건은 여러 철도 회사의 재편에 직접 관여했다. 1883년에는 윌리엄 H. 밴더빌트가 보유했던 뉴욕 중앙 철도 지분 상당 부분을 성공적으로 매각했다. 1885년에는 경영난에 처한 뉴욕, 웨스트 쇼어 & 버팔로 철도(New York, West Shore & Buffalo Railway)를 재편하여 경쟁사인 뉴욕 중앙 철도에 임대하는 방식으로 정리했다.[19] 1886년에는 필라델피아 앤드 레딩 철도(Philadelphia and Reading Railroad)를, 1888년에는 체서피크 앤드 오하이오 철도(Chesapeake and Ohio Railway)를 재건했다. 또한 제임스 제롬 힐과 협력하여 그레이트 노던 철도(Great Northern Railway) 경영에도 깊이 관여하게 된다.
1887년 주간상거래법이 통과되자, 모건은 1889년과 1890년에 철도 회사 대표들을 모아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각 철도 회사가 새로운 법률을 준수하고 과도한 경쟁을 지양하며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균일하고, 안정적인 요금"을 유지하도록 협약을 맺게 했다. 이는 경쟁 관계에 있던 철도 회사들 사이에 이해관계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시도였으며, 20세기 초에 나타날 대규모 철도 통합의 길을 열었다. 모건이 경영난에 빠진 기업을 인수하여 사업 기반과 경영을 재편하고 수익성을 개선하는 방식은 '모건화'의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79] 그의 은행가로서의 명성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그가 관여하는 사업에 자금이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다.[80]
3. 3. J.P. 모건 & 컴퍼니 (1895-1913)
앤서니 조셉 드렉셀이 사망한 후, 드렉셀 모건 & Co.는 1895년 '''J.P. 모건 & 컴퍼니'''(J.P. Morgan & Company)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회사는 필라델피아의 드렉셀 & 컴퍼니(Drexel & Company), 파리의 모건, 하르제스 & 컴퍼니(Morgan, Harjes & Company), 그리고 런던의 J.S. 모건 & 컴퍼니(J.S. Morgan & Company, 1910년 이후 모건, 그렌펠 & 컴퍼니)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900년경 J.P. 모건 & 컴퍼니는 기업 재편과 통합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금융 회사 중 하나로 성장했다. 모건은 조지 월브리지 퍼킨스 등 여러 파트너를 두었으나, 확고한 리더십을 유지했다.[20]
1893년 공황의 여파가 지속되던 1895년, 미국 재무부의 금 보유고가 고갈될 위기에 처했다. 이는 셔먼 은매입법으로 인해 사실상 금은 복본위제가 시행되면서 유럽 투자자들이 미국 증권에 대한 신뢰를 잃고 금으로 교환해갔기 때문이다. 당시 대통령 그로버 클리블랜드(민주당)는 모건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모건은 로스차일드와 협력하여 남북전쟁 시기의 법률을 활용, 약 9922만g의 금[21]을 30년 만기 국채 발행과 교환하여 재무부에 공급하는 계획을 성사시켰다.[22][81] 이 조치로 재무부는 파산을 면했지만,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자신의 지지 기반인 민주당 내 농민 세력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등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1896년 대통령 선거에서 은행가들은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민주당)의 공격 대상이 되었고, 모건은 공화당의 윌리엄 매킨리에게 거액을 기부하며 그의 당선을 도왔다.[23][82]
1900년, 모건은 발명가 니콜라 테슬라의 대서양 횡단 무선 통신 시스템 구축 제안을 받아들여 150000USD를 투자하고 특허 지분 51%를 확보했다. 테슬라는 이 시스템이 굴리엘모 마르코니의 시스템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테슬라가 곧바로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추가하며 계획을 확장하려 하자, 모건은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 결국 자금난으로 워든클리프 타워 프로젝트는 1906년 중단되었다.[25][26]
1901년, 모건은 앤드루 카네기의 카네기 철강 회사를 비롯한 여러 철강 및 관련 기업들을 합병하여 US스틸(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을 설립했다. 이는 자본금 14억달러에 달하는 세계 최초의 10억 달러 기업이었다. US스틸은 규모의 경제 실현, 비용 절감,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했으나,[27] 철강 시장의 3분의 2를 장악하며 사실상 독점 체제를 구축했고, 노조를 인정하지 않는 강경한 노동 정책으로 비판을 받았다.[27]
같은 해(1901년), 모건은 철도왕 E. H. 해리먼, 제임스 J. 힐과 손잡고 노던 퍼시픽 철도, 그레이트 노던 철도,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를 합병하여 노던 시큐리티스라는 지주회사를 설립했다. 이는 중서부 지역 철도 시장의 경쟁을 줄이고 사실상 독점하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당시 대통령 시어도어 루즈벨트는 이를 공익에 반하고 셔먼 반독점법 위반이라 판단하여 법무부에 소송을 제기하도록 지시했다.[83] 1904년, 연방 대법원은 노던 시큐리티스의 해체를 명령했다. 모건은 금전적 손실은 크지 않았지만, 이 사건으로 그의 절대적인 정치적 영향력에는 타격이 가해졌다.
1902년, 모건은 여러 미국 및 영국 해운사를 합병하여 대서양 항로를 독점하려 국제상선회사(International Mercantile Marine Co., IMMC) 설립에 자금을 지원했다. 그러나 해운업의 예측 불가능성, 미국의 반독점 정서, 영국 정부와의 협정 등으로 인해 완전한 독점에는 실패했다. IMMC의 자회사인 화이트 스타 라인 소속의 타이타닉호는 1912년 처녀항해 중 침몰하여 회사에 큰 재정적 타격을 안겼다. 모건 본인도 이 항해에 승선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을 변경하여 화를 면했다.[30][31] 같은 해(1902년), 모건은 런던 지하철 사업에 진출하려 했으나 경쟁자인 찰스 타이슨 예르크스의 방해로 실패하기도 했다.[28][29]
1907년 공황 당시, 뉴욕의 주요 은행들이 파산 위기에 처하자 모건은 다시 한번 구원투수로 나섰다. 당시 미국에는 중앙은행이 없었기 때문에, 모건은 사실상 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자신의 저택에 주요 금융가들을 소집하여 은행 간 자금 지원, 국제 신용 확보, 우량 기업 주식 매입 등을 조율하며 금융 시스템 붕괴를 막았다. 재무장관 조지 B. 코르텔리우도 연방 자금 3500만달러를 뉴욕 은행에 예치하며 지원했다.[33] 특히 파산 위기에 몰린 증권회사 무어 앤 슐리를 구제하기 위해, 이 회사가 담보로 잡고 있던 테네시 석탄철도회사(TCI) 주식을 US스틸이 인수하도록 주선했다. 모건은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으로부터 이 거래가 반독점법에 저촉되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아내어 합병을 성사시켰고, 이는 공황을 진정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83]
모건의 막강한 영향력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12년, 그는 미국 하원의 푸호 위원회에 출석하여 증언해야 했다. 위원회는 모건을 비롯한 소수의 금융 자본가들이 은행 이사회 등을 통해 총 222.45000000000002억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을 통제하며 산업 전반에 걸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금력 과두제'(Money Trust)를 형성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당시 변호사였던 루이스 브랜다이스는 이 금액이 미시시피 강 서쪽 22개 주의 모든 재산 가치와 맞먹는다고 지적했다.[84] 푸호 위원회의 조사는 월가의 내부 거래 관행과 금융 자본의 집중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고, 이후 연방준비제도 설립 등 금융 개혁 논의에 영향을 미쳤다.[85]
4. 산업 통합과 트러스트 형성
1871년, 아버지 J.S. 모건의 주선으로 필라델피아의 금융가 앤서니 조셉 드렉셀과 손잡고 뉴욕에서 드렉셀 모건 & Co.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미국에 대한 유럽 자본 투자의 주요 창구 역할을 했으며, 특히 미국의 철도 산업 자금 조달과 증권 시장 안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드렉셀 모건은 이전까지 철도나 운하에 국한되었던 전국적인 자본 시장을 다른 산업 분야로 확장하는 데 기여했으며, 정부 재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아 1877년에는 미 육군 전체 급여 지급을 대행하고 1895년 공황 당시에는 미국 정부의 구제 금융을 주도하기도 했다.
모건은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 여러 기업의 통합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철강 산업에서의 활동이다. 페더럴 스틸 설립에 자금을 지원한 데 이어, 1901년에는 카네기의 카네기 스틸 컴퍼니를 비롯한 여러 철강 회사들을 4.87억달러에 인수[86][87]하여 US스틸(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을 설립했다. US스틸은 자본금 14억달러에 달하는 세계 최초의 10억 달러 기업으로,[88]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했으나[86] 거대한 규모로 인해 독점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철도 산업 외에도 모건은 해운업 통합에도 관심을 가졌다. 1902년에는 대서양 해운 노선을 장악하기 위해 여러 미국 및 영국 해운 회사를 인수하여 국제상선회사(International Mercantile Marine Co., IMMC)를 설립했다. IMMC는 타이타닉호를 건조하고 운영한 화이트 스타 라인의 모회사이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통합 과정은 모건의 막강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산업 전반에 걸쳐 거대 트러스트를 형성하며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부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4. 1. 철도 산업
J. P. 모건은 아버지 주니어스 S. 모건의 금융업을 이어받아 1895년 회사 이름을 J.P. 모건 & 컴퍼니로 변경했다. 그는 뉴욕 센트럴 철도회사의 중역이 되었고, 영국의 로스차일드에게 철도회사 주식을 판매하며 영국 측 주주 대리인으로서 대표이사직을 맡게 되었다.[108] 이를 통해 국제 금융계에서의 입지를 다졌다.모건은 사업 확장 과정에서 당시 미국 최대 산업이었던 철도에 주목했다. 그는 제이 쿡의 정부 자금 조달 특권을 깨뜨린 신디케이트를 이끌었고, 재편 및 통합을 통해 국가적인 철도 제국을 개발하고 자금을 조달했으며,[17] 이 과정에서 경영난에 빠진 기업의 사업 기반과 경영을 재편하여 수익성을 회복시키는 방식, 이른바 모건화(Morganization)를 통해 효율성을 높였다.[18][79] 유럽에서 막대한 자금을 유치했으며, 단순한 재정가로서의 참여를 넘어 철도 회사를 적극적으로 경영하고 재편했다.[17] 모건의 명성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어 그가 관여하는 사업에 자금이 몰리게 했다.[80]
구체적인 사례로, 1883년에는 윌리엄 H. 밴더빌트의 뉴욕 센트럴 철도 지분 상당 부분을 성공적으로 매각했으며, 1885년에는 뉴욕 웨스트 쇼어 앤드 버팔로 철도(New York West Shore and Buffalo Railway)를 재편하여 뉴욕 센트럴 철도에 임대했다.[19] 1886년에는 필라델피아 앤드 레딩 철도(Philadelphia and Reading Railroad)를, 1888년에는 체서피크 앤 오하이오 철도(Chesapeake and Ohio Railway)를 재건했다. 또한 제임스 J. 힐과 함께 그레이트 노던 철도 경영에도 깊이 관여했다.
1887년 미국 의회가 주간상거래법을 통과시키자, 모건은 1889년과 1890년에 철도 회사 회장들을 소집하여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그는 각 회사가 새로운 법률을 준수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균일하고, 안정적인 요금"을 유지하기 위한 협약을 맺도록 주도했다. 이는 경쟁 노선들 간의 이해관계 공동체를 형성하는 첫 시도였으며, 20세기 초 철도 산업의 대규모 통합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1893년 공황으로 노던 퍼시픽 철도가 파산하자, 모건은 이 회사의 재편 과정에 참여했다. 1901년, 모건은 뉴욕의 금융가 E. H. 해리먼 및 미네소타의 철도 건설업자 제임스 J. 힐과 타협하여 중서부 지역의 경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이 지역의 주요 3개 철도 회사인 노던 퍼시픽 철도, 그레이트 노던 철도, 그리고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를 통합하기 위해 노던 시큐리티스라는 지주회사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 거대 트러스트 설립은 당시 반독점 개혁을 추진하던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반대에 부딪혔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이 합병이 소비자에게 해롭고 거의 적용되지 않던 1890년 셔먼 반독점법 위반이라고 생각했다. 1902년, 루스벨트는 법무장관 필랜더 녹스에게 노던 시큐리티스를 해체하라는 소송을 제기하도록 지시했다. 결국 1904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노던 시큐리티스의 해체를 명령했다. 이 사건으로 모건은 금전적인 손실은 입지 않았지만, 그의 절대적인 정치적 명성은 손상을 입었다.
한편, 1901년 E. H. 해리먼과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를 둘러싼 지배권 경쟁은 노던 퍼시픽 코너(Northern Pacific Corner)라 불리는 주식 이상 급등 현상을 일으켰고, 이는 1901년 공황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다음은 모건이 관여했던 주요 철도 회사 목록이다.
회사명 |
---|
애치슨, 토피카 앤 산타페 철도 |
애틀랜틱 코스트 라인 철도 |
볼티모어 앤 오하이오 철도 |
조지아 중앙 철도 |
체서피크 앤 오하이오 철도 |
시카고 앤 웨스턴 인디애나 철도 |
시카고, 버링턴 앤 퀸시 철도 |
시카고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
시카고, 인디애나폴리스 앤 루이빌 철도 |
엘진, 조리엣 앤 이스턴 철도 |
에리 철도 |
플로리다 이스트 코스트 철도 |
그레이트 노던 철도 |
호킹 밸리 철도(Hocking Valley Railway) |
저지 중앙 철도 |
리하이 밸리 철도 |
루이빌 앤 내슈빌 철도 |
뉴욕 중앙 시스템 |
뉴욕, 뉴 헤이븐 앤 하트퍼드 철도 |
뉴욕, 온타리오 앤 웨스턴 철도 |
뉴욕, 서스퀘하나 앤 웨스턴 철도 |
니켈 플레이트 로드 |
노던 퍼시픽 철도 |
펜실베이니아 철도 |
페어 마켓 철도(Pere Marquette Railroad) |
리딩 철도 |
세인트루이스-샌프란시스코 철도 |
서던 철도 |
세인트루이스 터미널 철도 협회 |
4. 2. 철강 산업
1900년, J. P. 모건은 앤드루 카네기의 철강 사업을 매입하고 다른 여러 철강, 석탄, 광산 및 해운 회사와 합병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연방 철강 회사(Federal Steel Company) 설립에 자금을 지원한 경험을 바탕으로, 모건은 1901년 이 회사를 카네기 철강 회사(Carnegie Steel Company) 및 여러 다른 철강 및 철 사업체(윌리엄 에덴번(William Edenbirn)의 컨솔리데이티드 스틸 앤 와이어 컴퍼니(Consolidated Steel and Wire Company) 포함)와 합병하여 미국강철 주식회사(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약칭 US스틸을 설립했다. 카네기 스틸의 인수 금액은 4.87억달러였다.[86][87]US스틸은 세계 최초로 자본금 10억 달러를 넘는 기업이었으며, 허가 자본금은 14억달러에 달했다.[88] 이는 당시 다른 어떤 산업체보다 훨씬 큰 규모였고, 최대 규모의 철도 회사들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US스틸의 설립 목표는 더 큰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운송 및 자원 비용을 절감하며, 제품 라인을 확장하고 유통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미국이 국제 시장에서 영국 및 독일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 중 하나였다.[27] US스틸의 초대 사장 찰스 엠. 슈왑(Charles M. Schwab) 등은 회사의 거대한 규모가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27]
그러나 US스틸은 설립 초기부터 독점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단순히 철강 생산뿐만 아니라 교량, 선박, 철도 차량, 레일, 와이어, 못 등 관련 산업 전반을 지배하려 한다는 우려였다. 실제로 모건은 US스틸을 통해 당시 미국 철강 시장의 3분의 2를 장악했고, 슈왑은 곧 시장 점유율이 75%에 달할 것이라고 공언하기도 했다.[27][86]
노동 정책 또한 비판의 대상이었다. US스틸은 노동조합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노조 결성을 막고 노조 지지자들을 찾아내기 위해 공격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모건을 포함한 합병 주도 세력들은 장기적인 이익과 안정, 대외 이미지 관리를 우선시하며 소위 "가부장적" 노동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는 노동자의 권익보다는 기업의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1901년 이후 US스틸의 시장 점유율은 점차 하락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초대 사장이었던 슈왑 자신이 이러한 하락세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US스틸의 경영 방식에 한계를 느끼고 1903년 회사를 떠나 경쟁사인 베들레헴 스틸을 설립했다. 베들레헴 스틸은 특히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H형강 개발 등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며 US스틸에 이어 미국 내 2위의 철강 회사로 부상했다.
4. 3. 해운 산업
J. P. 모건은 동부와 서부 철도망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지만, 당시 미국 서부 화물은 철도로 동해안까지 운송된 후 주로 영국 해운 회사들을 통해 유럽으로 보내졌다. 대서양 항로는 모건이 재편하기 전 철도 업계처럼 운임 인하 경쟁이 치열하여 산업 전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육상 운송(철도)을 장악한 모건은 해상 운송을 다른 이에게 맡길 수 없다고 판단하고, 해운업계 통합과 지배를 계획했다. 이를 통해 미국 서부 화물을 자신의 영향력 하에 있는 운송 회사만을 통해 유럽까지 운송하고자 했다.[89]1902년, J. P. 모건 & Co.는 대서양 해운업을 통합하고 독점하려는 시도로 여러 주요 미국 및 영국 해운 회사를 인수하여 국제상선회사(International Mercantile Marine Co., IMMC) 설립에 자금을 지원했다.[89] IMMC는 화이트 스타 라인 등을 자회사로 두었으며, 하파크로이드와 협력하여 큐나드 라인과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89] 모건은 철도와의 연계된 이사회 구성과 계약을 통해 대서양 횡단 해운을 장악하려 했으나, 해상 운송의 예측 불가능성, 미국의 반독점법, 영국 정부와의 협정 등으로 인해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모건은 IMMC의 자회사인 화이트 스타 라인 소유의 타이타닉호에 개인 산책로가 있는 고급 스위트룸을 예약하고 첫 항해에 탑승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을 변경하여 탑승하지 않았다.[30] 1912년 타이타닉호의 침몰은 IMMC에 재정적으로 큰 타격을 주었다. 재무 기록 분석에 따르면 IMMC는 과도한 부채와 부족한 현금 흐름으로 인해 채권 이자 지급에 어려움을 겪었다.[31] 모건 사후인 1915년에 IMMC는 파산 보호를 신청해야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운송 수요가 늘면서 회생했다. 이후 미국 라인(United States Lines)으로 재편되었지만, 결국 1986년에 파산했다.[31]
타이타닉호 침몰에 대해 모건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전해진다.
: 인생에서 금전적 손실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생명의 손실입니다. 바로 그 끔찍한 죽음입니다.[32]
4. 4. 전기 및 통신 산업
모건은 토머스 에디슨의 발명에 일찍부터 주목했다. 1878년 12월 31일, 모건이 속한 드렉셀 앤드 컴퍼니는 에디슨과 계약을 맺고 5년간 그의 특허를 관리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맡았다.[90] 드렉셀 앤드 컴퍼니는 에디슨의 전기 조명 회사(EEIC)에 상당한 자금을 투자했다.[91] 초기 EEIC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드렉셀 앤드 컴퍼니는 보증 신디케이트 그룹의 중심이 되어 EEIC를 지원했다.[92][93]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1892년, 모건은 에디슨 제너럴 일렉트릭과 경쟁사였던 톰슨-휴스턴 일렉트릭(Thomson-Houston Electric)의 합병을 주도하여 오늘날의 제너럴 일렉트릭(GE)을 설립했다. 모건의 저택은 이 시기 개인 주택으로는 최초로 전등 설비를 갖추게 되었다.통신 분야에서도 모건의 영향력은 상당했다. 그는 웨스턴 유니언 같은 주요 전신 회사를 장악하고, 여러 전신 및 전화 회사를 합병하여 AT&T를 설립했다.[107] 또한 1900년, 발명가 니콜라 테슬라의 무선 통신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도 했다. 테슬라는 굴리엘모 마르코니의 시스템보다 우수한 대서양 횡단 무선 통신 시스템 구축을 제안했고, 모건은 워든클리프 타워 건설 자금으로 15만달러를 투자하는 대가로 테슬라 특허 지분의 51%를 확보했다.[24] 그러나 테슬라가 계약 직후 더 야심 찬 무선 전력 전송 아이디어를 포함하여 프로젝트 규모를 확장하려 하자, 모건은 이를 계약 위반으로 간주하고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25] 결국 자금난으로 워든클리프 프로젝트는 1906년에 중단되고 부지는 폐쇄되었다.[25][26][94][95] 이후 모건은 AT&T와의 인적, 자본적 관계를 더욱 강화하며 통신 산업에서의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5. 금융 위기와 중앙은행 역할
J.P. 모건 & Co.는 앤서니 조셉 드렉셀과의 파트너십으로 시작하여 미국 정부와 산업계에 막대한 자금을 공급하는 핵심 금융 기관으로 성장했다. 특히 미국 중앙은행이 설립되기 이전 시기에 발생한 여러 금융 위기 상황에서 J.P. 모건은 정부와 시장의 구원투수 역할을 수행하며 사실상 중앙은행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기도 했다.
회사는 1877년 미 육군 전체의 급여 지급을 대행했으며, 1893년 공황의 여파로 미국 재무부의 금 보유고가 고갈될 위기에 처했던 1895년에는 월가의 은행단을 조직하여 금을 공급함으로써 미국 정부의 디폴트를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2][21][81]
1907년 공황 당시에는 뉴욕의 주요 은행들이 연쇄 파산 위기에 직면하자, 모건은 재무장관 조지 B. 코르텔리우가 뉴욕 은행에 예치하도록 한 연방 자금 3500만달러 지원을 조율하고[33] 뉴욕의 금융가들을 직접 소집하여 위기 극복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을 주도했다. 그는 은행 간 자금 지원을 조직하고, 해외에서 신용을 확보했으며, 건전한 기업의 주식 가치 폭락을 막기 위해 직접 매입에 나서는 등 시장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이 과정에서 U.S. Steel의 TCI 인수를 성사시켜 금융 시스템의 연쇄 붕괴를 막기도 했다.
이러한 모건의 막강한 영향력은 금융 위기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소수의 금융 자본가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는 결국 안정적인 금융 시스템을 위한 공적인 중앙은행, 즉 연방준비제도 설립 논의를 촉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5. 1. 1893년 공황
1893년 공황의 여파로 1895년경 미국 재무부는 금 보유고 고갈 위기에 직면했다.[81] 이는 셔먼 은매입법으로 인해 미국이 사실상 금과 은을 함께 사용하는 복본위제를 채택하면서, 유럽 투자자들이 미국 유가증권의 가치 하락을 우려하여 이를 금으로 바꾸려 했기 때문이다. 해외로 금 유출이 계속되면서 재무부의 금 보유량은 위험 수준까지 떨어졌다.당시 미국 민주당 소속의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 자본가인 J. P. 모건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모건은 처음에는 정부가 자신과 유럽 은행들로부터 금을 매입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정부가 직접 대중에게 국채를 판매하는 계획에 밀려 채택되지 않았다. 상황이 악화되자 모건은 클리블랜드 대통령과의 면담을 통해 즉각적인 조치가 없다면 정부가 당일 파산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결국 모건은 미국 남북 전쟁 시기에 제정된 법률을 활용하는 계획을 세웠다.[22] 그는 자신과 로스차일드(Rothschild & Co) 등이 참여하는 월가의 은행단(신디케이트)을 조직하여, 350만 온스의 금[21](당시 가치 약 6,500만 달러)을 재무부에 공급하는 대신 30년 만기 국채를 인수하기로 했다.[81] 이 금의 절반은 유럽에서 조달되었고, 이는 재무부 채권의 신용도를 회복시키는 데 기여했다.[81]
이 거래는 재무부의 파산을 막고 유럽 자본의 유출을 멈추는 데 성공했지만, 클리블랜드 대통령에게는 큰 정치적 타격을 입혔다. 특히 민주당 내 농민 기반 세력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이 사건은 그의 정치 경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2] 189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모건과 같은 은행가들의 영향력을 강하게 비판하며 선거 운동을 펼쳤다.[23][82] 반면, 모건을 비롯한 월가의 은행가들은 금본위제 유지를 주장한 공화당 후보 윌리엄 매킨리에게 막대한 정치 자금을 지원했고, 매킨리는 이 선거에서 승리했다.[23][82]
5. 2. 1907년 공황

1907년 공황은 미국 경제를 거의 마비시킬 뻔했던 금융 위기였다. 당시 주요 뉴욕 은행들이 파산 직전에 몰렸으나, 이를 구제할 마땅한 시스템이 부재했다. 이때 모건이 직접 나서 위기 해결에 나섰다.[33] 재무장관 조지 B. 코르텔리우는 위기를 완화하고자 연방 자금 3500만달러를 뉴욕 은행에 예치하도록 조치했다.[33] 이후 모건은 뉴욕 자택으로 전국의 주요 금융가들을 소집하여 위기 대응 계획 수립을 주도했으며, 내셔널 시티 은행의 회장 제임스 스틸먼 역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모건은 은행 및 신탁 회사 임원들로 팀을 구성하여 은행 간 자금 재분배, 추가적인 국제 신용 확보, 그리고 재정적으로 건전한 기업들의 폭락하는 주식 매입 등을 조직적으로 실행했다.
이 과정에서 무어 앤 슐리(Moore & Schley) 증권 회사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다. 이 회사는 테네시 콜, 아이언 앤 레일로드 회사(TCI)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고, 월가 은행들에 대한 대출 담보로 600만달러가 넘는 TCI 주식을 제공했으나 상환 불능 상태에 빠졌다. 무어 앤 슐리의 파산은 더 큰 금융 시스템의 연쇄 붕괴를 촉발할 위험이 있었다. 이에 모건은 TCI를 주요 경쟁사인 U.S. Steel에 합병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
U.S. Steel의 회장 엘버트 게리는 합병에는 동의했으나, 반독점법 위반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모건은 게리를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보냈고, 루스벨트 대통령은 이 거래에 대해 법적 문제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 루스벨트는 이전까지 셔먼 반독점법을 발동하여 기업 집중을 견제했으며, 1902년에는 모건이 지배하던 철도 트러스트인 노던 시큐리티즈를 기소하여 해산시킨 전례가 있었다.[83] 그러나 그는 거대 기업이 공익의 관점에서 정부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며, "좋은 트러스트"는 지원하고 "나쁜 트러스트"는 규제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83] 이러한 배경 하에 루스벨트는 1907년 공황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U.S. Steel의 TCI 인수를 용인하며 모건 측과 타협한 것이다.[83] 결국 U.S. Steel은 TCI 주식 인수에 3000만달러를 지불했고, 무어 앤 슐리는 파산을 면했다. 이 발표는 즉각적인 시장 안정 효과를 가져왔고, 1907년 11월 7일 공황은 종결되었다.
1907년 공황 처리 과정에서 보여준 모건의 막대한 영향력은 금융 권력의 집중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했다. 이는 1910년 11월, 모건 소유의 제킬 아일랜드 클럽에서 연방준비제도 설립을 위한 비밀 회의가 열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 회의에는 존 D. 록펠러, 윌리엄 키섬 밴더빌트, 뱅커스 트러스트(현 도이치방크(Deutsche Bank))의 벤자민 스트롱 등이 참석했다.
1912년 12월, 모건은 1907년 공황과 금융가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퍼거슨 위원회(Pujo Committee)에 출석하여 증언했다. 위원회는 소수의 금융기관 수뇌부가 공적 신용을 이용하여 여러 산업을 은밀히 지배하고 있다고 보았다. 당시 J.P. 모건 앤드 컴퍼니(J.P. Morgan & Co.)는 퍼스트 내셔널 뱅크(First National Bank)와 내셔널 시티 뱅크(National City Bank)의 이사직을 통해 약 224.5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통제하고 있었는데, 훗날 연방 대법관이 되는 루이스 브랜다이스는 이 규모가 미시시피강 서쪽 22개 주의 자산을 합친 것과 맞먹는다고 지적했다.[84] 퍼거슨 위원회는 월가의 내부자 거래와 주가 조작 문제를 지적하며 연방 정부의 증권 소매 감독 및 주식 공모 시 투자자 관계(Investor Relations) 강화 등을 개혁안으로 제시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이러한 개혁 논의는 중단되었다.[85]
6. 비판과 논란
보수주의자들은 모건을 시민적 책임, 국가 경제 강화, 예술과 종교에 대한 헌신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은행업과 기업 합병에 비판적인 이들은 그를 금융 권력 집중 시스템의 핵심 인물로 간주하며 비판했다. 특히 1895년 미국 재무부에 금을 대출할 당시의 조건이나, 업튼 싱클레어와 같은 비판가들이 지적한 1907년 공황 당시의 대처 방식 등은 주요 비판 대상이 되었다. 그의 막대한 금융 영향력은 푸호 위원회의 조사를 통해 소수 금융 자본가의 산업 지배력 문제로 이어졌으며, 훗날 JP모건 체이스의 전신 은행들이 과거 노예 소유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또 다른 논란을 낳았다.[34][35][36]
6. 1. 금융 과두제와 푸조 위원회
J. P. 모건은 그의 활동에 대해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보수적인 시각에서는 그가 시민적 책임을 다하고 국가 경제를 강화했으며 예술과 종교에 헌신했다고 칭찬했지만, 은행업과 기업 합병에 비판적인 이들은 그를 금융 권력이 소수에게 집중되는 시스템의 핵심 인물로 지목하며 비판했다. 특히 1895년 미국 재무부에 금을 대출해 준 조건이나 1907년 공황 당시 그의 대처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1912년 12월, 모건은 미국 하원 은행 및 통화 위원회 산하의 소위원회인 푸호 위원회에 출석하여 증언했다. 이 위원회는 미국의 금융 시스템을 조사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소수의 금융 자본가들이 막대한 자금을 동원하여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머니 트러스트(Money Trust)'의 실체를 파헤치고자 했다.
푸호 위원회는 조사 끝에 실제로 소수의 금융 지도자들이 많은 산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J.P. 모건 & Co.의 파트너들과 퍼스트 내셔널 은행(First National Bank), 내셔널 시티 은행(National City Bank of New York)의 이사들이 통제하는 자산 규모는 총 222.45000000000002억달러에 달했다. 당시 법률가이자 후에 연방대법관이 되는 루이스 브란다이스는 이 금액이 미시시피 강 서쪽에 위치한 22개 주의 모든 재산 가치를 합한 것과 맞먹는다고 지적하며 금융 권력 집중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푸호 위원회의 조사 결과는 이후 미국 금융 시스템 개혁 논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6. 2. 홀 카빈 사건
남북전쟁 시기 모건은 이스트먼이라는 인물과 함께 북군으로부터 카빈소총을 1정당 3.5USD에 사들인 뒤, 이를 남군에게 1정당 22USD라는 높은 가격에 되팔아 막대한 차익을 남겼다.[105] 이 거래는 전쟁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이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으며, 그의 경력 초기에 이미 논란의 대상이 되어 모건의 평판에 오점을 남겼다.6. 3. 노예 소유 논란
2000년대 초, 역사가 제임스 라이드의 조사를 통해 JP모건 체이스의 전신 은행들이 과거 노예 소유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34] 현재 JP모건 체이스의 일부인 시티즌스 은행(Citizens Bank영어)과 캐널 은행(Canal Bank영어)은 1830년대부터 미국 남북 전쟁 시기까지 미국 남부의 플랜테이션 농장주들에게 노예를 담보로 대출을 제공했다. 만약 농장주가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 은행은 담보로 잡힌 노예의 소유권을 넘겨받기도 했다.JP모건 체이스는 자체 조사를 통해 1831년부터 1865년까지 이 두 은행이 약 13,000명의 노예를 담보로 잡았고, 그중 약 1,250명의 노예를 직접 소유하게 된 것으로 추산했다. 이러한 과거 행적에 대해 JP모건 체이스는 공식적으로 사과했는데, 이는 시카고시와 거래할 때 기업이 과거 노예 무역과의 거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요구하는 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35][36]
7. 유산과 영향
1913년 3월 31일, 모건은 이탈리아 로마의 그랜드 호텔 플라자에서 76세 생일을 앞두고 수면 중 사망했다.[62] 그의 사망 소식에 월가는 조기를 게양했고, 그의 유해가 뉴욕 시를 통과할 때는 국가 원수에게만 허용되는 예우로 뉴욕 증권거래소가 2시간 동안 폐장되었다.[63][99] 그의 유해는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에 있는 시더힐 묘지에 안장되었다.[64][100]
사망 당시 그의 재산은 6830만달러(소비자물가지수(CPI) 기준 현재 가치 약 13.899999999999999억달러, 또는 GDP 점유율 기준 약 252억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약 3000만달러는 은행 지분이었다. 그가 수집한 막대한 양의 미술품 컬렉션 가치는 약 5000만달러로 추산되었으며, 이 미술품들은 대부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기증되거나 기탁되었다. 모건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설립에 깊이 관여했으며 관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아들 잭 모건은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1924년 모건 도서관을 공공에 개방했다.[101]
은행 사업은 아들 존 피어폰트 "잭" 모건 주니어가 상속받았으나,[64] 아버지와 같은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1933년 제정된 글래스-스티걸 법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분리를 강제했으며, 이에 따라 '모건 가문(House of Morgan)'은 다음과 같은 세 개의 독립적인 기업으로 해체되었다.
모건의 경제적 영향력은 막대하여, 당시 연방 정부보다 더 큰 힘을 가졌다는 인식이 퍼져 있었다. 1881년에 그려진 한 풍자화는 거대한 모건 앞에 작은 엉클 샘(미국 의인화)을 묘사하며 이러한 인식을 보여준다.
그는 19세기 말 세계 최대의 은행가 중 한 명으로 성장하여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철도 산업을 통합하고 US 스틸을 설립하는 등 미국 산업 자본주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나, 그의 막대한 부와 영향력은 금융 자본의 집중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교황 비오 11세는 바티칸의 재정 관리를 모건에게 맡겼고, 모건은 라테란 조약으로 받은 이탈리아 국채를 성공적으로 투자하여 교황청의 재산을 증식시켰다. 이 공로로 그는 성 그레고리 대십자훈장을 받았다.[109]
보석의 일종인 모가나이트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65] 그의 저택 크랙스턴 부속지는 1982년 미국 국립사적지 등록에 등재되었다.[66]
8. 사생활
1861년 10월, 모건은 아멜리아 "메미" 스터지스(1835~1862)와 결혼했으나, 결혼 당시 이미 결핵을 심하게 앓고 있던 아멜리아는 결혼 4개월여 만인 1862년 2월 프랑스 니스에서 사망했다. 모건은 그녀의 건강 회복을 위해 알제까지 여행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1865년 5월 31일, 모건은 세인트 조지 교회에서 만난 프랜시스 루이자 "패니" 트레이시(1842~1924)와 재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사망 | 배우자 | 비고 |
---|---|---|---|
루이사 피어폰트 모건 | 1866~1946 | 허버트 L. 새털리(1863~1947) | |
J. P. 모건 주니어 | 1867~1943 | 제인 노튼 그루 | 아버지의 사업 계승 |
줄리엣 피어폰트 모건 | 1870~1952 | 윌리엄 피어슨 해밀턴(1869~1950) | |
앤 트레이시 모건 | 1873~1952 | - | 자선가 |
모건은 어깨가 넓고 눈이 날카로운 큰 체격의 소유자였으며, 사람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다.[4] 그는 만성 피부 질환인 주사로 인해 코가 붉고 울퉁불퉁하게 변형되는 코피마를 앓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세간의 관심을 싫어하고 허락 없이 사진 찍히는 것을 극도로 꺼렸다. 그의 공식 초상화는 모두 이 부분을 수정했다. 그의 사위인 허버트 새털리는 모건이 어린 시절 앓았던 영아 경련의 재발을 두려워하여 코 수술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이러한 외모의 약점에도 불구하고 그는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고 전해진다.
모건은 하루에 수십 개비의 시가를 피우는 애연가였으며, 특히 크고 굵은 쿠바산 시가를 선호했다.
평생 독실한 미국 성공회 신자였던 그는 1890년대에는 교단 내 가장 영향력 있는 평신도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맨해튼의 성공회 사교 클럽인 뉴욕 처치 클럽(Church Club of New York)의 창립 회원이었다.[39] 1892년 개정판 《공동기도서》(Book of Common Prayer) 제작 위원회의 최초 평신도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특별 한정판 인쇄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40] 1910년에는 교파 간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세계 교회 회의 개최 제안에 감명받아 위원회 활동 자금으로 10만달러를 기부했다.[41]
그의 뉴욕 저택인 매디슨 애비뉴 219번지는 1882년 미국 최초로 전기 조명이 설치된 개인 주택이었다.[42][43][44] 이는 그가 1878년부터 토머스 에디슨의 에디슨 조명 회사에 자금을 지원하며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보였기 때문이다.[97] 그는 또한 뉴욕주 하이랜드폴스의 "크래그스톤(Cragston)" 저택과 글렌코브의 이스트 아일랜드(East Island) 별장을 소유했으며, 매년 3개월을 보내는 런던에도 프린스 게이트 13-14번지와 도버 하우스(Dover House) 두 채의 집을 가지고 있었다. 프린스 게이트 저택은 나중에 미국 정부에 제공되어 주영국 미국 대사 관저로 사용되기도 했다.
모건은 뉴욕시의 유니온 클럽(Union Club) 회원이었다가 친구인 존 킹이 입회 거부(Blackballing)를 당하자 탈퇴하고, 1891년 스탠퍼드 화이트에게 설계를 맡겨 메트로폴리탄 클럽을 창설하고 초대 회장(1891~1900)을 지냈다.[45][46]
열렬한 요트 애호가였던 모건은 뉴욕 요트 클럽(NYYC)의 코모도어(Commodore, 제독)를 역임했다. 그는 클럽하우스 건립을 위해 맨해튼 44번가에 약 22.86m × 약 30.48m 크기의 부지를 매입하여 기증했으며,[47][48][49][50] 회원들은 감사의 표시로 그에게 트로피를 증정했다.[51][52] 그는 여러 척의 대형 요트를 소유했는데, 그중 '코르세어(Corsair)'라는 이름의 요트가 유명했다. 1882년에 구입한 첫 번째 코르세어는 원래 제이 굴드의 개인 은행가였던 찰스 J. 오스본을 위해 건조된 것이었다.[53] "가격을 물어야 한다면, 당신은 그것을 살 여유가 없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은 모건이 요트 유지 비용에 대해 질문받았을 때 한 대답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인된 사실은 아니다.[54] 이 요트들은 사교나 비밀 회의 장소로도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모건은 저명한 예술품 및 서적 수집가였다. 그는 책, 그림, 회화, 시계, 보석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품을 수집했으며, 수집품 중 상당수는 그가 설립에 깊이 관여하고 회장을 역임했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기증되거나 대여되었다. 그의 방대한 컬렉션은 뉴욕 매디슨 애비뉴의 개인 서재와 런던 저택에도 보관되었다. 영국의 화가이자 비평가인 로저 프라이가 한동안 모건을 위해 미술품 구매를 대행하기도 했다.[55] 그의 아들 J. P. 모건 주니어는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1924년 개인 서재를 모건 도서관 및 박물관으로 만들어 공공에 개방했으며, 아버지의 개인 사서였던 벨 다 코스타 그린을 초대 관장으로 임명했다.
특히 그는 20세기 초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보석 수집가 중 한 명이었다. 티파니의 수석 보석학자 조지 프레드릭 쿤츠의 도움으로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보석 컬렉션을 구축했으며, 이 컬렉션들은 1889년과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 출품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56] 이 컬렉션들은 뉴욕의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 기증되어 '모건-티파니 컬렉션'과 '모건-베먼트 컬렉션'으로 알려져 있다.[57]
또한 모건은 사진작가 에드워드 S. 커티스의 후원자로서, 1906년 미국 원주민에 관한 사진 시리즈 제작을 위해 7.5만달러를 지원했다.[58] 커티스는 이 지원을 바탕으로 20권짜리 기념비적인 작품 ''북아메리카 인디언''을 출판했다.[59]
모건은 타이타닉호를 소유한 화이트 스타 라인의 실질적인 소유주였으며, 타이타닉호에는 모건 전용 특실과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었다. 그는 타이타닉호의 처녀 항해에 승선할 예정이었으나 직전에 취소했다.[98]
그는 모건 도서관 및 박물관, 미국 자연사 박물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대영 박물관, 그로톤 스쿨, 하버드 대학교(특히 의과대학), 트리니티 칼리지, 뉴욕시 분만 병원, 뉴욕 직업 학교 등 수많은 교육, 문화, 의료 기관의 후원자이기도 했다.
9. 문화적 묘사
J. P. 모건은 다양한 문화 작품에서 중요한 인물이나 모티브로 등장하며, 종종 막강한 부와 영향력을 가진 자본가의 상징으로 그려진다.
- 문학:
- * 존 도스 파소스의 미국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인 ''1919년''에서는 모건의 당대 문학적 전기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금융 환경에 대한 우화로 사용된다.
- * 칼렙 카의 소설 ''에일리어니스트'', E. L. 닥터로의 소설 ''래그타임'', 스티븐 S. 드랙먼의 소설 ''왓 오휴의 유령'', 그레이엄 무어의 소설 ''밤의 마지막 날'', 그리고 마리 베네딕트와 빅토리아 크리스토퍼 머레이의 소설 ''개인 도서관 관리인'' 등 여러 소설에 등장인물로 나온다.[67][68][69][70][71]
- 영화 및 TV:
- * 오슨 웰스 감독의 영화 ''시민 케인''에서 주인공 찰스 포스터 케인의 후견인인 월터 파크스 새처(조지 컬러리스 분)는 J. P. 모건을 모델로 한 것으로 여겨진다. 영화 속 케인은 새처와의 관계가 긴장되며, 새처가 자신의 어린 시절을 망쳤다고 비난한다.[72]
- * 히스토리 채널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미국을 건설한 사람들'' 3화와 4화에서 그의 경력을 다룬다.[75]
- 게임 및 캐릭터:
- * 파커 브라더스의 전 부사장 필 오르바네스에 따르면, 보드게임 ''모노폴리'' 미국판의 마스코트인 '부유한 삼촌 페니백스'는 J. P. 모건을 모델로 만들어졌다.[73] 이 마스코트를 1936년에 그린 일러스트레이터 다니엘 폭스의 가족 역시 J. P. 모건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74]
- * 캡콤의 격투 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6에 등장하는 악당 JP는 여러 가명을 사용하는 고령의 상류층 은행가로 묘사되며, 모든 가명의 이니셜이 "JP"이다. 그는 M. 바이슨과의 사업 관계를 통해 100년 이상 살아왔다고 주장한다.
- 음악 및 기타:
- * 1906년에 발표된 인기곡 "내 이름은 모건이지만 J.P.가 아니다"(작사: 윌 A. 매호니, 작곡: 홀시 K. 모어, 노래: 밥 로버츠)는 에디슨 실린더 녹음으로 발매되었다. 원래는 인종차별적 내용을 담은 "쿤송"(Coon song)으로 발표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수정되었고, 가사는 가난한 '모건'이라는 남자가 여자친구에게 자신을 부자인 J. P. 모건으로 오해하지 말라고 당부하는 내용이다.[76][77]
- * 1950년대 인기 가수이자 게임쇼 패널이었던 제이 P. 모건(본명: 메리 마가렛 모건)은 고등학교 시절 학급 회계를 맡으면서 J. P. 모건을 연상시키는 별명을 얻었다.
참조
[1]
백과사전
J.P. Morgan
https://www.britanni[...]
2020-04-17
[2]
서적
The Roosevelts: An Intimate History
Alfred A. Knopf
2014
[3]
뉴스
The alphabet of success
https://www.economis[...]
2016-09-16
[4]
웹사이트
John Pierpont Morgan and the American Corporation
https://web.archive.[...]
2018-05-11
[5]
서적
The World Almanac and Book of Facts
Newspaper Enterprise Association
1906
[6]
서적
The Miles Morgan Family of Springfield, Massachusetts: In the Line of Joseph Morgan of Hartford, Connecticut, 1780-1847
1904
[7]
서적
George Westinghouse: Powering the World
McFarland
[8]
웹사이트
Pierpont Morgan: Banker
https://www.themorga[...]
2020-05-04
[9]
웹사이트
J.P. Morgan's Connecticut Roots
https://connecticuth[...]
[10]
서적
Fifty Key Figures in Management
Psychology Press
[11]
웹사이트
JP Morgan biography –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ankers in history
https://web.archive.[...]
Financial-inspiration.com
2013-04-07
[12]
서적
J. Pierpont Morgan: Industrialist and Financier
Capstone
[13]
서적
The Hall Carbine Affair: A Study in Contemporary Folklore
Pandick Press
[14]
웹사이트
U.S. Carbine Model 1843 Breechloading Percussion Hall-North .52
http://ww2.rediscov.[...]
Springfield Armory Museum
2016-05-20
[15]
서적
History of the Great American Fortunes, V. 3
Charles H. Kerr
[16]
서적
The Robber Barons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 Co.
[17]
뉴스
FreightWaves Classics/Leaders: J.P. Morgan controlled US railroads and industry policies
https://web.archive.[...]
FreightWaves
2023-01-26
[18]
잡지
J.P. Morgan: Pierpont would not approve
2002-11-18
[19]
간행물
Crisis of Rugged Individualism: The West Shore-South Pennsylvania Railroad Affair, 1880-1885
https://journals.psu[...]
[20]
웹사이트
Morganization: How Bankrupt Railroads were Reorganized
https://web.archive.[...]
2007-01-05
[21]
웹사이트
Historical Gold Prices – 1833 to Present
http://www.nma.org/p[...]
2011-12-22
[22]
웹사이트
J.P. Morgan: Biography
http://www.biography[...]
A&E Television Networks, LLC
2015-12-08
[23]
웹사이트
The Golden Touch
https://web.archive.[...]
2011-12-22
[24]
서적
Tesla, Inventor of the Electric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잡지
Nikola Tesla: The Lost Wizard
http://teslatech.inf[...]
[26]
서적
Tesla: Man Out of Tim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7]
뉴스
He Did It! (creation of U.S. Steel by J.P. Morgan)
Across the Board (Professional Collection)
2001-05
[28]
서적
London's Lost Tube Schemes
Capital Transport
[29]
서적
Robber Baron: The Life of Charles Tyson Yerk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0]
서적
J.P. Morgan and the Transportation Kings: The Titanic and Other Disaster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1]
서적
J. P. Morgan and the Transportation Kings: The Titanic and Other Disaster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2]
뉴스
Seven Famous People who missed the Titanic
https://www.smithson[...]
2023-02-26
[33]
서적
It Was a Very Good Year: Extraordinary Moments in Stock Market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9-21
[34]
뉴스
A Historian's Quest Links J.P. Morgan To Slave Ownership
https://www.wsj.com/[...]
2023-05-01
[35]
웹사이트
JP Morgan Bank Slavery Disclosure
https://www.phila.go[...]
2023-05-02
[36]
논문
Addressing Corporate Ties to Slavery: Corporate Apologia in a Discourse of Reconciliation
http://www.tandfonli[...]
2012-01-01
[37]
서적
America's Economic Heritage
[38]
서적
The American Pageant
Houghton Mifflin Company
[39]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14-11-17
[40]
논문
The Evolution of the Standard Prayer Book of 1892
http://justus.anglic[...]
2022-12-03
[41]
서적
Religion in America: Theologians of a New World Order: Rheinhold Niebuhr and the Christian Realists, 1920-1948
Oxford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J. P. Morgan Home, 219 Madison Avenue
http://dcmny.org/isl[...]
Digital Culture of Metropolitan New York is a service of the Metropolitan New York Library Council
2015-03-15
[43]
웹사이트
A Bold New Dimension to Business: Introducing electrical service and maintenance version 2.0
https://www.ecmag.co[...]
[44]
서적
Empires of Light: Edison, Tesla, Westinghouse, and the Race to Electrify the World
https://books.google[...]
[45]
웹사이트
The Epic of Rockefeller Center
https://web.archive.[...]
TODAY.com
2003-09-30
[46]
웹사이트
J. P. Morgan
https://www.philanth[...]
2014-10-21
[47]
뉴스
Yachting: Commodore Morgan Gives the New-york Club a Site for a House to Race for the Canadian Cup Yacht Associations Meet
1898-10-28
[48]
뉴스
Commodore Morgan's Gift; Presents Three Lots to the N.Y. Yacht Club for a New Home
https://www.nytimes.[...]
2022-10-26
[49]
뉴스
New Yacht Club House; Commodore Morgan Buys a 75-Foot Frontage in Forty-fourth Street for a Site.
https://www.nytimes.[...]
2022-10-26
[50]
뉴스
Com Morgan Pays $148,000.: Loses No Time in Making Good His Offer to Provide Site for New Clubhouse for New York Yacht Club
1898-10-29
[51]
뉴스
N.Y.Y.C. Honors J.P. Morgan: Silver Loving Cup Presented to the Club's Ex-commodore
1901-01-30
[52]
뉴스
Harriman Gets Chicago Lines.: Terminal Transfer Company's Stock Reported in Control of Eastern Man. Details of the Deal. Charity Ball for Benefit of Nursery and Childs' Hospital a Success. General New York News.
1901-01-30
[53]
뉴스
Yacht Corsair
https://web.archive.[...]
Spirit of the Times
2018-07-18
[54]
서적
Business Education World, Vol. 42
https://books.google[...]
Gregg Publishing Company
[55]
서적
Roger Fry: A Biography
the Hogarth Press
[56]
웹사이트
Morgan and His Gem Collection
http://www.farlang.c[...]
2007-02-20
[57]
웹사이트
Morgan and His Gem Collections
http://www.farlang.c[...]
2007-02-20
[58]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eb.archive.[...]
Flury & Company
2012-08-07
[59]
웹사이트
Digital Collections - Libraries - Northwestern University
https://dc.library.n[...]
[60]
웹사이트
The Indian Picture Opera—A Vanishing Race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Atlanta Georgian (Atlanta, Ga.), March 31, 1913, (HOME)
https://www.loc.gov/[...]
2024-01-22
[62]
서적
The Only Way to Cross
[63]
방송
The Stock Exchange
1997-10-12
[64]
웹사이트
Cedar Hill Cemetery
https://archive.toda[...]
2006-08-27
[65]
웹사이트
Morganite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olored Gemstone Association
2007-01-22
[66]
참고자료
[67]
서적
The Alienist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68]
서적
Ragtime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69]
서적
The Ghosts of Watt O'Hugh
Chickadee Prince Books
[70]
서적
The Last Days of Night
Random House
[71]
서적
The Personal Librarian
Berkley
[72]
웹사이트
Citizen Kane (1941)
http://www.filmsite.[...]
Filmsite.org
1941-05-01
[73]
간행물
Association of Game and Puzzle Collectors Quarterly
AGPC.ORG
2013-06-01
[74]
웹사이트
Interview: Phil Orbanes, Monopoly Expert (Part Two)
http://www.bookofodd[...]
Book of Odds
2012-02-20
[75]
웹사이트
The Men Who Built America > The History Channel Club
http://www.thehistor[...]
2012-09-30
[76]
서적
The Incredible Pierpont Morgan: financier and art collector
Harper & Row
[77]
서적
A Century of American Popular Music
Routledge
2013-10-15
[78]
서적
モルガン家とアメリカ資本主義の経営史(一)
北海学園大学学園論集
[79]
뉴스
J.P. Morgan: Pierpont would not approve.
BusinessWeek
2002-11-18
[80]
웹사이트
Morganization: How Bankrupt Railroads were Reorganized
http://voteview.com/[...]
2007-01-05
[81]
문서
クリーブランドはモルガンの義父の法律事務所で働いたことがあり、モルガンと近い間柄であり、かつ金本位制の推進者であった。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Fidelity's World: The Secret Life and Public Power of the Mutual Fund Giant
Simon & Schuster
[86]
뉴스
He Did It!(creation of U.S. Steel by J.P. Morgan)
Across the Board (Professional Collection)
2001-05-01
[87]
문서
この取引は弁護士や契約書が介在しない取引であった。
[88]
웹사이트
J. P. Morgan
http://encarta.msn.c[...]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89]
문서
エドワードの父ヘンリー・グレンフェルはイングランド銀行総裁であった。エドワード自身もイングランド銀行の理事を務めた。
[90]
기타
Edison Archives
Edison National Historic Site, West Orange, N.J.
[91]
기타
C. A. Spofford から Henry Villard への書翰。1886年2月26日付。
Villard Papers, ハーバード大学図書館, Cambridge, Mass.
1886-02-26
[92]
보고서
Edison Electric Light Co. Annual Report 1883; Edison Electric Illuminating Co. Annual Report 1885
[93]
기타
Villard Papers
1886-01-12
[94]
웹사이트
Nikola Tesla: The Lost Wizard
http://teslatech.inf[...]
ExtraOrdinary Technology
2006-01-01
[95]
서적
Tesla: Man Out of Time
[96]
문서
ユーロクリア設立の翌年というのが興味深い。グラム・リーチ・ブライリー法の成立は大分先のことである。
[97]
서적
[98]
서적
[99]
방송
The Stock Exchange
Modern Marvels
1997-10-12
[100]
웹사이트
Cedar Hill Cemetery, John Pierpont Morgan
http://www.cedarhill[...]
[101]
서적
[102]
웹사이트
The North American Indian
http://curtis.librar[...]
[103]
웹사이트
The Indian Picture Opera - A Vanishing Race
http://www.customfli[...]
[104]
웹인용
A quote by J.P. Morgan
https://www.goodread[...]
2023-09-26
[105]
서적
제1권력
[106]
서적
제1권력
[107]
서적
제1권력
[108]
서적
제1권력
[109]
서적
금융제국 JP모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